※ 제품 설명
알리에서 구매한 IoT Zigbee 지그비 Gateway(HUB)를 SmartLife App에 추가해 보았습니다.
이 허브를 통해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게 될 것입니다.
Hub를 굳이 써가며, Zigbee 기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1. Wifi 공유기의 연결하는 기기의 수가 많으면, 연결이 끊기는 경우가 있고 ,
2. Wifi는 Zigbee보다 전력소모가 많아, 배터리만으로 동작시키는 기기(온습도계, 씬스위치, 도어 센서 등)에 부적합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저렴한 가격은 아니지만, SmartLife와 연동되는 Zigbee 기기와 연결이 매우 잘되는 편이고 센서값이나, 데이터 로깅(저장) 등 표시되는 GUI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USB C타입으로 전원공급을 하며, 연결을 위해 C타입 포트 옆에 있는 버튼을 길게 눌러 빨간불이 천천히 점멸하도록 합니다.
※ 연결
SmartLife 어플에서 우측 상단에 +버튼을 누릅니다. (기존에 연결된 Wifi 전구와, 전등 스위치(2구)가 보이네요)
좌측 게이트웨이제어 항목에서 우측 게이트웨이(Zigbee)를 선택합니다.
기기를 연결시킬 Wifi 정보를 입력합니다. 기기의 Wifi칩이 5 Ghz를 지원하지 않나 보네요. 현재 기준으로 ESP8266, ESP32등 Wifi 연결가능한 MCU들도 아직 5 Ghz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표시등이 깜빡이는지 확인을 눌러주세요
빠르게 깜빡이는 경우는 자동으로 찾아서 연결해주지만,
느리게 깜빡이는 경우, 기기가 AP(Access Point) 모드로 작동하여 휴대폰을 해당 AP Wifi 에 연결합니다.
Iothelper인 저는 갤럭시 휴대폰을 쓰는데, 모든 Wifi 기기는 AP모드로만 연결이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이 방식으로 연결하는 게 확실하더라고요
기기를 AP모드로 진입시키는 방법은 기기마다 다양하겠지만,
보통 버튼이 있는 경우 5초 이상 눌러 초기화 및 기본 연결모드로 진입한 다음
한번 더 5초 이상 눌러 느리게 깜빡이도록 세팅해 줍니다.
다음 느리게 깜빡임을 선택하면 역시
Iot기기가 터트린 Wifi에 휴대폰을 연결하라고 가이드하는데요
아래와 같은 양식의 Wifi에 연결하면
해당기기와의 통신만을 위해 연결하는 것이니, 인터넷이 안된다고 뜨며, 원활한 연결을 위해 항상 연결을 선택해 줍니다
그리고 SmartLife app에 다시 접속하면
페어링을 시작하며
금방 추가가 완료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연필 버튼을 눌러
기기의 이름과, 위치를 지정해 줍니다.
기기이름은, HUB가 많아질 경우를 대비해 변경이 가능합니다.
※결론
짜잔 이제, Zigbee 기기들을 SmartLife 어플에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많은 기기들의 연동 테스트를 진행하겠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 상품페이지 연결되는 아래 링크(사진)을 참조하세요